54. 메모리의 종류와 특징
한마디로 크게 메모리라고 하지만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메모리를 선택해야만 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메모리를 크게 ROM과 RA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3종류로 분류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합니다.
메모리 | 특징 |
---|---|
ROM |
읽기 전용 메모리입니다. 비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하고 전원 공급을 끊어져도 기록한 데이터는 소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됩니다. ROM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마스크 ROM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가 바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PROM(Programmable ROM)입니다. 또한, PROM는 다시 작성할 수 있는 EPROM(Erasable PROM)과 다시 작성할 수 없는(1번밖에 기록할 수 없는) OTP(One Time PROM)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EPROM은 자외선으로 삭제한 후에 기록하는 UVEPROM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적인 삭제와 기록이 가능한 EEPROM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EPROM은 미완성 프로그램의 저장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RAM |
전원 공급을 끊으면 기록한 데이터가 소실되는 메모리입니다. 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하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RAM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RAM(Static RAM)과 DRAM(Dynamic RAM)입니다. SRAM은 전원을 공급하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한 셀 구조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DRAM의 셀 구조는 커패시터에 전하를 축적함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유지하는 커패시터형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리플레시 신호를 주지 않으면 데이터가 소실되어 버립니다. SRAM의 장점으로는 제어가 쉽고 읽기/쓰기 동작이 고속인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셀 면적이 크기 때문에 대용량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DRAM은 셀 면적이 작기 때문에 대용량화에 적합하지만 리플레시 동작이 중요하므로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차세대 RAM으로 자기 저항 메모리(MRAM: Magnetoresistive RAM)와 상변화 메모리(Phase Change RAM), 저항 변화 메모리(RRAM: Resistive RAM)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Flash memory |
EEPROM의 한 종류입니다. 1바이트마다 기록이 아닌 블록 단위로 삭제와 기록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는 ROM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 ROM과 RAM의 중간적인 메모리로 취급하는 예도 있습니다. 셀 구조에 따라 NOR형과 NAND형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NOR형은 데이터 유지의 신뢰성이 높으므로 에러 정정 등의 처리가 불필요하고 또한 비트 단위로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삭제 속도가 느려서 고속 동작에 적합하지 않고 셀 면적이 크기 때문에 대용량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요 용도로는 휴대 전화기 등의 프로그램 저장을 들 수 있습니다. 한편 NAND형은 셀 면적이 작으므로 대용량화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나 휴대 전화기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