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무선 통신표
컴퓨터나 휴대용 전자 기기, 가정용 전자 기기 등을 위한 무선 통신 기술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전송 속도와 전송 거리가 다릅니다.
따라서 용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한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였습니다.
무선 LAN |
무선 LAN이란 컴퓨터와 주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 규격으로 IEEE에서 표준화되었습니다. ‘Wi-Fi(와이파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규격으로는 2.4GHz 대역을 이용하는 IEEE802.11b/g와 5GHz 대역을 이용하는 IEEE802.11a, 2.4GHz 대역과 5GHz 대역 모두를 이용하는 IEEE802.11n가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 속도로는 802.11b에서 최대 22M비트/초, 802.11a와 802.11g에서 최대 54M비트/초, 802.11n에서 최대 600M비트/초를 얻을 수 있습니다. |
WiMAX |
WiMAX란 ADSL이나 광케이블, 케이블 TV와 같은 부설이 어려운 지역에서 유선 통신 시설에서 가정까지의 ‘라스트 원 마일’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통신 규격. ‘와이맥스’라고 읽습니다.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2G~11GHz입니다. 무선 LAN과 가장 큰 차이는 통신 거리의 길이입니다. WiMAX 규격으로는 2가지가 있고, 그 하나는 고정 통신을 위한 IEEE802.16-2004. 다른 하나는 이동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IEEE802.16e(Mobile WiMAX)입니다. 데이터 전송 속도로는 IEEE802.16-2004의 최대 10km 범위 안에서 최대 74.81M비트/초, IEEE802.16e에서는 최대 3km 범위 안에서 최대 21M비트/초를 얻을 수 있습니다. |
ZigBee |
ZigBee란 소비 전력이 낮은 것이 특징인 단거리 무선 통신 규격입니다. 빌딩이나 공장과 같이 관리에 이용되는 센서, 네트워크나 전등, 공조 기기, 보안 기기 등의 원격 제어가 주요 용도입니다. 2.4GHz 외에 900MHz 대역과 800M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리 층과 같은 전기적인 규격은 IEEE802.15.4에 표준화되어 있고 그 위에 탑재하는 프로토콜 등은 업계 단체 ZigBee Alliance가 책정했습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250k비트/초이고 통신 거리는 최대 300m입니다. |
Bluetooth |
Bluetooth는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와 그 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해 개발된 2.4GHz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입니다. 마우스나 키보드, 헤드셋 등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초기 규격은 스웨덴 Ericsson사와 핀란드 Nokia사, 도시바, 미국 IBM사, 미국 Intel사가 중심이 되어 책정되었습니다. 그 후에는 업계 단체 Bluetooth SIG로 그 장소가 바뀌었습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Bluetooth2.1+EDR 규격에서 최대 3M비트/초입니다. 그러나 2009년 4월에 책정된 ‘Bluetooth3.0+HS’ 규격에서는 2.4GHz 외에 5GHz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대 24M비트/초로 높였습니다. |
WirelessHD |
WirelessHD란 60GHz의 극고주파를 이용한 고속 무선 통신 규격입니다. 가정에서의 영상 전송 주요 용도로 하고 초기 규격에서는 최대 7G비트/초 정도였으나 차기 규격에서는 10G~28G비트/초로 높아질 예정입니다. 이것이 실현되면 3D TV의 영상이나 4K2K(4000×2000화소) TV의 영상도 압축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게 됩니다. 규격을 결정하는 업계 단체는 2006년에 설립되었고 초기의 참가 기업은 파나소닉(당시는 마쓰시타 전기산업), NEC, 소니, 도시바, 한국 LG 전자, 한국 삼성 전자, 미국 SiBEAM이었습니다. |
NFC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13.56MHz를 이용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규격입니다. 소니와 네덜란드 Philips사가 개발했습니다. 통신 거리는 10cm 정도로 짧고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6k비트/초와 212k비트/초, 424k비트/초가 있으며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니의 비접촉 IC 카드 ‘FeliCa’와 Philips사의 ‘Mifare’에서 NFC 규격이 물리 층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
LTE |
LTE(Long Term Evolution)란 제3.9세대 휴대 전화(3.9G)라고 하는 새로운 휴대 전화 규격입니다. 제3세대 휴대 전화(3G)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제4세대 휴대 전화(4G) 규격으로 채용하는 것과 가까운 기술을 채용하므로 3.9G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표준화 작업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업계 단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입니다. 최고점에서 다운로드 데이터 전송 속도로는 최대 100M비트/초 이상, 업로드는 최대 50M비트/초를 얻을 전망입니다. 일본 국내에서는 2010년 말부터 서비스 운영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
IrDA |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란 적외광을 이용한 광 무선 통신 규격입니다. 휴대 전화기나 가전 리모컨, 컴퓨터 등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1994년에 표준화된 ‘SIR’ 규격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115.2k비트/초였으나 그 이후, 고속화 연구가 진행되어 ‘FIR’ 규격에서는 최대 4M비트/초, ‘UFIR’ 규격에서는 최대 100M비트/초로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책정 중인 ‘Giga-IR’ 규격에서는 최대 1G비트/초로 높아질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