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RFID

물류용 및 상품 관리용 이외에 전자 티켓이나 전자 머니 등에 RFID 태그가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RFID 태그의 가격이 낮아지면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장에서는 현재 이용할 수 있는 RFID 기술을 일람표에 정리하였습니다.

사용 주파수 대역 용도 특징

125k-135kHz

FA(공장 자동화) 용도, 회전 초밥집 등의 음식점용, 스키장의 리프트권과 같은 레저용, 이모빌라이저와 같은 자동차용 등.

1980년대부터 사용되고 있는 RFID 기술입니다. 전지를 내장하지 않은 패시브 타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통신으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합니다. RFID 태그로 중심 봉에 코일을 감싼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외형 치수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통신 거리가 수십cm 정도로 짧고, 데이터 통신 속도가 느리다는 점도 단점으로 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장점으로는 주파수가 낮으므로 전자파가 우회하기 쉽고, 금속이나 물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 등이 있습니다.

13.56MHz

도서관의 책 관리용, 소매점의 보안 관리용,’Suica’나’Edy’등에 이용되고 있는 ‘FeliCa 규격’ 등.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RFID 기술입니다. 전지를 내장하지 않은 패시브 타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25k〜135kHz를 이용하는 RFID 기술과 비교하면 주파수가 낮으므로 수신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습니다. 필름 위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통신 거리는 1m 정도. 그러나 금속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리더기/라이터기와 수신 안테나 사이에 금속이 있으면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게 됩니다.

433MHz

해상 운송 컨테이너 관리와 같은 국제 물류 용도 등.

전지를 내장한 액티브 타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420M〜450MHz로 넓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 있지만, 일본은 아마추어 무선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겹치기 때문에 433.67M〜434.17MHz로 좁은 대역이 할당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출력 전력은 1mW로 아마추어 무선의 약 만분의 일 정도로 매우 낮습니다.

860M-960MHz

컨테이너 관리와 같은 유통 용도, 대형 유통 기업의 상품 관리용 등.

UHF 대역을 이용하는 RFID 기술입니다. 패시브 타입과 액티브 타입의 RFID 태그가 있고 마이크로파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2.45GHz를 이용하는 RFID 기술과 비교하면 전자파의 직진성이 낮아 우회할 수 있으므로 장해물이 있어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 속도는 2.45GHz 대역과 비교하면 떨어집니다. 통신 거리는 최대 5m 정도입니다.

2.45GHz

컨테이너 관리와 같은 유통 용도.

마이크로파 대역을 이용하는 RFID 기술입니다. 패시브 타입과 세미 패시브 타입의 RFID 태그가 있습니다. 장점은 주파수가 높으므로 리더기/작성기와 수신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전자파가 물에 흡수되기 쉽다는 것과 전자파의 직진성이 높으므로 장해물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통신 거리는 2m 정도. 비교적 빠른 데이터 통신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